기술일 뿐인데 왜 '의무'처럼 느껴질까?
CBDC가 강제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것들
요즘 뉴스나 영상에서 CBDC라는 단어, 한 번쯤 들어보셨죠?
정부가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라고 하는데, 아직은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수도 있어요.
처음엔 “편리하겠네!”, “좋은 기술이니까 잘 활용하면 되겠지”라고 생각할 수 있죠.
그런데 한편으론 이런 생각도 들지 않으셨나요?
“요즘은 현금 안 받는 데도 많고… 디지털 지갑을 안 쓰면 점점 불편해지는 거 아냐?”
“CBDC, 진짜 내가 원해서 쓰는 걸까… 아니면 선택지가 없어지는 걸까?”
사실 이 질문이 CBDC 논의의 핵심입니다.
기술은 도구일 뿐인데, 어느 순간 ‘당연히 써야 하는 것’처럼 느껴진다면, 뭔가 한 번쯤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요?
✅ CBDC는 '기술'이지, ‘운명’이 아닙니다
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예요.
복지금이나 지원금을 실시간으로 줄 수 있고, 세금도 자동 정산되고, 수수료 없이 결제도 가능하죠.
분명 기술적으로는 굉장히 효율적이에요.
그런데 말이에요.
이런 기능들, 사실 이미 다른 방식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- 스테이블코인으로는 전 세계 송금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고,
- 카카오페이, 토스, 네이버페이 같은 QR 간편 결제 시스템은 이미 일상이에요.
- 디지털 바우처도 다양한 공공 서비스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고요.
결국 CBDC는 ‘전혀 새로운 것’이라기보단, 기존 시스템을 정부가 직접 통제하는 방식으로 옮겨오는 것에 가까워요.
✅ 진짜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, ‘선택권’을 잃는 구조입니다
기술이 많아지는 건 좋은 일이죠.
문제는 기술이 선택지가 아니라 강제 수단처럼 작동할 때예요.
예를 들어서,
- “앞으로 복지금은 CBDC로만 지급됩니다.”
- “디지털 지갑이 없으면 공공서비스 이용이 어렵습니다.”
- “현금 사용은 점점 줄어들고, 일부 매장에선 아예 안 받습니다.”
이런 상황이 되면,
사람들은 겉으로는 ‘선택하는 척’ 하지만 사실상 선택지가 하나뿐인 상태가 되어버려요.
그건 더 이상 ‘자유로운 선택’이 아니라,
‘불편하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구조’인 거죠.
이게 바로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지점이에요.
✅ 국가는 기술을 ‘설계’하는 것이 아니라, ‘선택을 보장’ 해야 합니다
정부가 기술을 도입하고 실험하는 건 분명 필요한 일입니다.
복지금 지급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, 세금 회계를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죠.
정부 입장에서도 정책 효율성과 재정 건전성을 생각해야 하니까요.
하지만 그 기술이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, 통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면,
그건 다시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.
그래서 진짜 필요한 건 이런 것들입니다:
✔️ 시민이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 제공
✔️ 현금, 카드, 간편 결제,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의 공존
✔️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대체 수단 마련
✔️ CBDC를 ‘선택지’로 남기고, ‘유일한 수단’으로 만들지 않기
기술은 도구일 뿐, 목적이 되어선 안 됩니다.
중요한 건, 시민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거예요.
✍️ 마무리하며
CBDC는 잘 설계된다면 분명 우리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입니다.
정부가 도입을 논의하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니에요.
하지만 중요한 건 그 기술이 시민의 자유와 권리 위에 군림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.
기술은 사회를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수단이어야지,
시민을 조용히 통제하거나, 선택지를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선 안 됩니다.
우리는 ‘편리한 기술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그 선택이 자유로운 판단에서 나온 것인지,
아니면 불편하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따른 것인지는
스스로 돌아봐야 할 문제입니다.
CBDC는 새로운 기회일 수도, 불편한 통제일 수도 있습니다.
그 갈림길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
눈을 감는 게 아니라, 정확히 바라보는 것입니다.
기술은 다양할수록 좋습니다.
그리고 선택은, 언제나 시민의 몫이어야 합니다.
👇 👇 CBDC 반대 청원 링크 👇 👇
https://petitions.assembly.go.kr/proceed/onGoingAll/303626A0A8ED4B29E064B49691C6967B
https://petitions.assembly.go.kr/proceed/onGoingAll/30E8F1E825607391E064B49691C6967B
당신의 돈이 정부 허락 없이 사라질 수 있다면? | 디지털 시대의 그림자: CBDC가 바꾸는 돈, 자유,
최근 몇 년 사이, 세계 여러 나라에서 'CBDC(Central Bank Digital Currency)', 즉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언뜻 들으면 디지털 결제 수단 하나가 늘어나는 것처럼
kreplace.com
디지털 점수 사회의 현실, 그 중심엔 CBDC가 있다 | 점수에 따라 사는 세상, 우리도 곧 현실?
“당신의 점수는 몇 점인가요?”이 질문이 단순한 신용카드 신용도가 아니라, 당신의 일상 행동, 온라인 발언, 교통법규 준수 여부, 심지어는 친구 관계까지 반영한 '사회적 점수'라면 어떨까요?
kreplace.com
CBDC와 감시 사회 – 디지털 통제가 만든 신세계
“디지털 화폐가 만든 사회, 당신은 자유로운가?”최근 급속히 진행 중인 CBDC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 개발과 실험.기술적으로는 편리하지만, 그 이면에는 국가가 개인을 실시간으로 추적·통제할
kreplace.com